bunta의 보조기억장치

220821_정보처리기능사_오답풀이 본문

Study/자격증

220821_정보처리기능사_오답풀이

bunta 2022. 8. 22. 00:51
반응형

1과목 : 전자 계산기 일반

1. 데이터 전송 명령어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상수값을 레지스터 또는 주기억장치로 전송

    2. 스택에 저장된 값을 레지스터로 전송

    3.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스택으로 전송

    4.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연산

 

    >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연산하는 것은 "연산 명령어"이다.

 

 

2. ASCII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3개의 Zone비트를 가지고 있다.

    2. 16비트 코드로 미국 표준협회에서 개발하였다.

    3. 통신 제어용으로 사용한다.

    4.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한다.

 

    > ASCII 코드는 7비트로 구성되어 있어서 총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16비트 코드는 유니코드입니다.

 

 

3. 1개의 입력선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2^n개의 출력선 중 1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회로는?

    1. 멀티플렉서

    2. 인코더

    3. 디코더

    4. 디멀티플렉서

 

    > 디멀티플렉서는 1개의 입력선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2^n개의 출력선 중 1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2^n개의 출력선 중 1개의 선을 선택하기 위해 n개의 선택선을 사용한다.

 

 

4. 주소를 지정하는 필드가 없는 0번지 명령어에서 Stack의 Top 포인터가 가리키는 오퍼랜드를 암시하여 이용하는 주소 방식은?

    1. Implied Mode

    2. Immediate Mode

    3. Direct Mode

    4. Indirect Mode

 

    > Stack이라는 단어를 통하여 묵시적(Implied)임을 알 수 있다.

 

 

5.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기억 기능

    2. 메모리 관리

    3. 산술 및 논리 연산

    4. 제어 기능

 

    > 마이크로프로세서란 작은 칩 안에 CPU 기능(연산, 제어, 기억)을 넣어 놓은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관리는 운영체제에서 한다.

 

 

6. 다음 논리회로에서 입력 A, B, C에 대한 출력 Y의 값은?

    1. Y = AB + B'C

    2. Y = A + B + C

    3. Y = AB + BC

    4. Y= A'B + B'C

 

    > A와 B가 AND(곱하기) 연산, B(NOT)과 C가 AND(곱하기) 연산되고 두개가 OR(더하기) 연산이 된다.

 


3과목 : PC 운영 체제

1. 다음 UNIX 명령어 중 반드시 인수를 갖는 명령어들로만 나열한 것은?

[①wc  ②pwd  ③kill  ④passwd]

    1. ①, ②

    2. ②, ③

    3. ①, ③

    4. ②, ④

 

    > pwd : 현재 프로그램이 수행중인 경로 표시

       passwd : 로그인 암호 변경

       나머지는 반드시 인수를 필요로 한다.

 

 

2. 다음 중 운영체제의 발전 단계를 가장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배치 처리 → 다중 프로그래밍 → 시분할 시스템

    2. 다중 프로그래밍 →  시분할 시스템 → 배치 처리

    3. 시분할 시스템 → 배치 처리 → 다중 프로그래밍

    4. 배치 처리 → 시분할 시스템 → 다중 프로그래밍

 

    > 운영체제의 발전 순서

       일괄처리(Batch Processing)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다중 프로그래밍(Multi Programming)

       다중 처리(Multi Processing)

       시분할 처리(Time Sharing Processing)

       분산 처리(Distributed Processing)

 

 

3. 두 개의 파일의 차이가 있을 때 차이점이 나타난 바이트 위치와 행 번호를 표시하는 UNIX 명령어는?

    1. diff

    2. cmp

    3. comm

    4. paste

 

    > cmp : 두개의 파일이 어떤 부분이 다른가를 비교할 때에 사용하는 파일 비교 유틸리티

                 단순히 같은가 다른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몇행의 몇번째 문자가 다른지 확인 가능

       diff : 두개의 파일 간 차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파일 비교 유틸리티 cmp보다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비교

       comm : 일반적이고 뚜렷한 문자열들을 위해서 두 개의 파일을 비교하는 유틸리티

       paste : 1개 이상의 파일에서 행을 합치는 명령어

 

 

4.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중지시킬 수 있는 수행 중단기능(break on)을 설정할 수 있는 도스 파일은?

    1. io.sys

    2. command.com

    3. config.sys

    4. autoexec.bat

 

    > io.sys : 입출력 관련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파일(커널)

       config.sys : 장치 및 기타 설정 파일

       command.com : 명령어 해석기

       autoexec.bat : 부팅 후 자동실행 파일

 

 

5. Which one is not related to Processing program?

    1. Language translator program

    2. Service program

    3. Job management Program

    4. Problem program

 

    > Job management Program → 제어 프로그램에 속한다.

       나머지는 처리 프로그램에 속한다.

 

 

6. 스풀링(Spool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서와 입/출력장치와의 속도차이를 해결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2. 스풀링의 방법은 출력장치로 직접 보내는 것이다.

    3. 출력 시 출력할 데이터와 만날 때마다 디스크로 보내 저장시키는 것이다.

    4. 프로그램 실행과 속도가 느린 입/출력을 이원화 한다.

 

    > CPU를 거치지 않고 출력장치로 직접 보내는 것은 DMA(Direct Memory Access 직접 메모리 접근)이다.

 

 

7. 컴퓨터에 하드디스크를 새로 장차갛고 부팅 가능한 하드디스크로 만들기 위한 도스 명령어는?

    1. FORMAT C:/S

    2. FORMAT C:/B

    3. FORMAT C:/T

    4. FORMAT C:/Q

 

    > FORMAT C:/S 에서

       /S : 시스템 파일을 복사하라는 뜻

       /Q : 퀵 포맷

 

 

8. 윈도 98의 "찾기" 대화 상자에서 제공되는 탭이 아닌 것은?

    1. 이름 및 위치

    2. 찾아보기

    3. 날짜

    4. 고급

 

    > 찾아보기는 제공되지 않는다.

 


4과목 : 정보 통신 일반

1. RS-232C 25핀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전송(TXD)과 수신(RXD)에 해당되는 핀(Pin) 번호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1, 2

    2. 3, 4

    3. 2, 3

    4. 4, 5

 

    > 1번 : 접지

       2번 : 송신(TX : DTE → DCE)

       3번 : 수신(RX : DCE → DTE)

       4번 : 송신 준비(송신 요청)

       5번: 송신을 위한 준비과정(송신 가능)

 

 

2. 다음 중 전송선로의 1차 정수가 아닌 것은?

    1. 저항

    2. 인덕턴스

    3. 정전용량

    4. 위상정수

 

    > 위상정수선로의 1차 정수 : 단위 길이당 왕복 저항 R

                                                  한 선으로부터 다른 선으로의 단위 길이당 누설 컨덕턴스 G

                                                  단위 길이당 왕복선의 인덕턴스 L

                                                  단위 길이당 선 간 용량 C

       1차 정수에는 R, G, L, C가 있다.

       1차 정수로부터 유도되는 감쇠 정수 a, 위상 정수 b 및 특성 임피던스 Z0 등을 2차 정수라고 한다.

       이들을 통틀어 선로 정수라 하며 위상 정수는 2차 정수에 속한다.

 

문제 출처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https://www.comcbt.com/)

반응형

'Study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합격  (0) 2025.04.08
정보처리기능사 합격  (0) 2024.02.20
Comments